열무 얼갈이배추 겉절이: 여름 별미 김치의 쉽고 맛있는 레시피
여름 제철 열무와 얼갈이배추로 만드는 아삭하고 시원한 겉절이! 김치 양념 황금 레시피 공개
무더운 여름, 입맛 없을 때 딱 좋은 시원하고 아삭한 열무 얼갈이배추 겉절이를 소개합니다. 복잡한 김치 담그기 대신, 시판 양념 소스를 활용하여 누구나 쉽고 빠르게 맛있는 겉절이를 완성할 수 있어요. 제철 채소의 신선함과 감칠맛 나는 양념의 조화가 밥도둑이 따로 없답니다. 가족과 함께 즐거운 요리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주재료- 신선한 열무
- 부드러운 얼갈이배추
- 쪽파
- 고운 고춧가루
- 고소한 참기름
- 깨끗한 통깨
- 시판 겉절이 양념 소스
조리 방법
Step 1
이 레시피는 복잡한 김치 양념 과정을 간소화하여, 초보자도 쉽게 여름 별미인 열무 겉절이와 얼갈이 겉절이를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Step 2
새미네 부엌의 편리한 김치 양념 소스를 활용하여 겉절이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소스는 물김치에도 사용해봤는데 정말 맛있었기에 겉절이에도 도전했어요. (본 제품은 광고가 아닌, 직접 구매하여 사용한 솔직 후기입니다.)
Step 3
싱싱한 열무와 부드러운 얼갈이배추를 깨끗하게 다듬고 씻어 준비합니다.
Step 4
쪽파는 약 3~4cm 길이로, 먹기 좋은 크기로 듬성듬성 썰어줍니다. 너무 잘게 썰기보다는 채소의 식감을 살릴 수 있도록 약간 도톰하게 썰어주세요.
Step 5
시판 소스 설명서에는 알배추 1포기 (약 750~800g) 기준 고춧가루 40g (밥숟가락 약 6스푼)이 권장량입니다. 준비한 채소의 양에 맞춰 소스와 고춧가루 양을 조절해주세요. 제 레시피에서는 채소 양을 고려하여 약 90g의 소스를 기준으로 양을 계산했습니다.
Step 6
단순히 고춧가루만 있으면 김치 양념이 완성된다니, 정말 신기하고 편리한 요리 아이템입니다! 더욱이 이 김치 양념 소스는 모든 재료가 국내산으로 만들어져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ep 7
저는 소스 2팩을 사용할 예정이라, 고춧가루 12스푼(밥숟가락 기준)을 계량하여 넣고 소스를 부어주었습니다. 이 작은 소스 안에 맛의 비결이 응축되어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에요. 만드는 내내 ‘정말 이렇게 간단하게 맛있는 김치가 될까?’ 하는 호기심이 계속 샘솟았습니다. 이전에도 이 소스로 물김치를 만들어 성공했었기에 이번 겉절이도 기대가 큽니다.
Step 8
이렇게 만든 겉절이 양념은 바로 사용하기보다는 약 5분 정도 잠시 불려주면 더욱 깊은 맛을 낼 수 있습니다. 시간이 있다면 먼저 양념을 만들어 두고 채소를 손질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요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Step 9
준비한 커다란 볼에 손질해 둔 열무, 얼갈이배추, 쪽파를 모두 넣고, 미리 만들어 둔 겉절이 양념 소스를 넣어주세요. 양념이 채소에 골고루 배도록 손으로 살살 버무려줍니다. 열무를 넣으면 열무 겉절이, 얼갈이배추를 넣으면 얼갈이 겉절이가 완성되는, 아주 쉬운 겉절이 만드는 법입니다!
Step 10
처음에는 양념이 조금 꾸덕하게 느껴졌지만, 참기름을 살짝 추가하여 섞어주니 부드럽고 윤기 있게 잘 버무려졌습니다. 취향에 따라 고춧가루 양을 조절하여 원하는 농도의 양념을 만들 수 있습니다.
Step 11
열무김치와 얼갈이김치는 여름철 대표 별미로 손꼽힙니다. 그만큼 더운 날씨에 시원하게 즐기기 좋으며, 특히 얼갈이배추와 함께 담그면 그 맛이 더욱 조화롭습니다. 이 레시피는 맛있는 열무 얼갈이 김치를 쉽게 담그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Step 12
채소를 양념에 버무릴 때는 너무 힘을 주어 세게 문지르면 채소의 신선한 맛이 덜해지고 풋내가 날 수 있습니다. 부드럽게 살살 다루면서 양념이 골고루 묻도록 무쳐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 13
마지막으로, 먹음직스러운 겉절이 위에 통깨를 솔솔 뿌려주면 시원하고 맛있는 열무 얼갈이배추 겉절이 만들기 완성입니다! 최근에는 시판 겉절이 양념 소스가 잘 나와서 김치 담그는 과정이 이렇게나 간단해졌습니다.
Step 14
갓 버무린 겉절이도 맛있지만, 뚜껑을 닫아 냉장고에서 1~2일 정도 숙성시키면 재료에 양념이 더욱 깊숙이 배어들어 한층 더 맛있는 겉절이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Step 15
하루 숙성시킨 다음 날, 겉절이의 맛이 한층 더 깊어졌습니다. 점심 식탁에 올려 먹어보니, 감칠맛 나는 양념과 아삭한 채소의 식감이 살아있어 ‘이 맛이야!’ 절로 감탄사가 나왔습니다. 역시 갓 담근 겉절이는 이 맛이 정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