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긋한 쑥개떡: 찹쌀가루로 만드는 쫀득한 봄 간식
#봄나물요리 #쑥요리 #쑥개떡만들기 #살아있는 쑥의 향기 #찹쌀가루로 쫀득하게
따스한 봄날, 제철 쑥을 활용한 별미 ‘쑥개떡’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쑥 한 단으로 엄마의 손맛을 떠올리게 하는 쫀득하고 향긋한 쑥개떡을 만들어 보세요. 맵쌀가루가 없어도 괜찮아요! 집에 있는 찹쌀가루만으로도 충분히 맛있는 쑥개떡을 만들 수 있답니다. 익반죽으로 쫄깃함을 살리고, 설탕과 소금으로 은은한 단맛과 감칠맛을 더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한 과정과 꿀팁을 담았습니다.
재료
- 쑥 1봉지 (다듬고 씻은 후)
- 찹쌀가루 1컵
- 소금 1 작은술 (데칠 때) + 1 작은술 (반죽할 때)
- 설탕 1 작은술
- 참기름 1 큰술
조리 방법
Step 1
먼저, 쑥을 깨끗하게 다듬고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씻어 흙과 불순물을 제거해 주세요. 씻은 쑥은 체에 밭쳐 물기를 충분히 빼줍니다. 쑥 한 봉지가 생각보다 양이 많지 않게 느껴질 수 있지만, 데치고 나면 부피가 더 줄어드니 염려 마세요.
Step 2
팔팔 끓는 물에 소금 1 작은술을 넣고 쑥을 넣어 3분에서 5분 정도 데쳐줍니다. 쑥의 줄기 부분이 질길 수 있으니 5분 정도 충분히 데쳐주면 식감이 훨씬 부드러워집니다. 데치는 동안 쑥 특유의 향이 퍼져나갈 거예요.
Step 3
데친 쑥은 찬물에 헹궈 열기를 식힌 후, 손으로 물기를 꼭 짜줍니다. 이때 너무 세게 짜서 쑥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필요는 없어요. 쑥에서 나오는 푸른 물도 반죽에 색감과 향을 더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기를 짠 쑥은 약 3등분하여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주세요.
Step 4
볼에 손질한 쑥을 담고 찹쌀가루 1컵을 넣어줍니다. 여기에 소금 1 작은술과 설탕 1 작은술을 넣어주세요. 쑥 자체의 맛만으로는 밍밍할 수 있으니, 약간의 간을 더해줘야 쑥개떡의 풍미를 살릴 수 있습니다. 찹쌀가루가 없다면 맵쌀가루나 일반 쌀가루를 사용하셔도 좋고, 급하다면 밀가루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Step 5
쑥개떡 반죽은 반드시 ‘익반죽’으로 해야 쫄깃한 식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반죽을 시작하세요. 뜨거운 물에 데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손으로 반죽을 치대어 줍니다. 반죽 표면이 매끈해지고, 그릇 벽면에 반죽이 거의 묻어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치대주세요. 만약 반죽이 너무 질다면 찹쌀가루를 조금씩 추가하며 농도를 맞춰주세요.
Step 6
잘 반죽된 쑥개떡 반죽을 한 입 크기로 떼어 동글납작한 원반 모양으로 빚어주세요. 떡이 찜기에 달라붙지 않도록 종이호일을 깔아주면 편리합니다. 사용한 종이호일은 깨끗이 씻어 말려두었다가 다음번에도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Step 7
김이 오르는 찜기에 빚어둔 쑥개떡을 넣고 15분 정도 쪄줍니다. 쑥개떡의 양이 적다면 10-15분 정도로도 충분히 익을 수 있습니다. 찜기 뚜껑을 열어 쑥떡이 하얗게 익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Step 8
잘 쪄진 쑥개떡은 찜기에서 꺼내 한 김 식혀줍니다. 떡이 겹치지 않게 펼쳐서 앞뒤로 고루 식혀주면 떡 표면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Step 9
마지막으로, 참기름 1 큰술을 준비합니다. 손바닥에 참기름을 살짝 바르고 쑥개떡의 앞뒷면에 골고루 발라주세요. 참기름을 바르면 떡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고소하면서도 은은한 향을 더해줍니다. 매끈한 표면의 쑥개떡이 완성됩니다.
Step 10
봄에만 맛볼 수 있는 향긋하고 쫄깃한 쑥개떡 완성입니다! 제철 쑥으로 만들어 더욱 신선하고, 어릴 적 추억까지 소환하는 특별한 봄 간식으로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