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삭아삭 설렁탕집 스타일 깍두기
황금 레시피: 집에서 맛있게 깍두기 담그는 완벽 가이드
한국인의 밥상에 빠질 수 없는 대표 김치, 깍두기! 아삭한 식감과 깊고 풍부한 맛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사랑하는 맛이죠. 배추김치만큼이나 자주 담가 먹게 되는 깍두기를, 이번에는 설렁탕집에서 맛보던 바로 그 스타일로 제대로 담가볼 거예요. 다양한 깍두기 레시피 중에서도 깍두기 본연의 매력을 한껏 살린 특별한 비법을 알려드릴 테니, 이 레시피로 집에서도 맛있는 깍두기 마스터가 되어보세요!
주재료
- 무 1.5~1.6kg
절이기 재료
- 굵은소금 3큰술 (약 45g)
- 설탕 2스푼 (약 20g)
양념 재료
- 고춧가루 7스푼 (약 49g)
- 멸치액젓 5스푼 (약 40g)
- 다진 마늘 1스푼 (약 20g)
- 다진 생강 1/3스푼
- MSG(미원) 1/3티스푼 (약 7g, 또는 생강가루 1/3스푼 약 2g)
- 양파 1/4개 (약 50~60g)
- 밥 1큰술 (약 40g)
- 물 5스푼 (약 40g)
- 콩가루 1스푼
- 굵은소금 3큰술 (약 45g)
- 설탕 2스푼 (약 20g)
양념 재료
- 고춧가루 7스푼 (약 49g)
- 멸치액젓 5스푼 (약 40g)
- 다진 마늘 1스푼 (약 20g)
- 다진 생강 1/3스푼
- MSG(미원) 1/3티스푼 (약 7g, 또는 생강가루 1/3스푼 약 2g)
- 양파 1/4개 (약 50~60g)
- 밥 1큰술 (약 40g)
- 물 5스푼 (약 40g)
- 콩가루 1스푼
조리 방법
Step 1
크고 싱싱한 무 1개를 준비해주세요. 무를 대략 3~4cm 두께로 먹기 좋은 크기의 깍둑썰기를 해주세요. 너무 얇으면 쉽게 물러질 수 있으니 적당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Step 2
깍둑썰기 한 무를 넓은 볼에 담고, 굵은소금을 무에 골고루 뿌려주세요. 소금이 무의 수분을 빼내 아삭한 식감을 살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Step 3
설탕을 2스푼 넣어주세요. 특히 가을 무처럼 쓴맛이 강한 무를 사용할 경우, 뉴슈가를 반 티스푼 정도 추가하면 쓴맛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감칠맛을 더할 수 있어요.
Step 4
무를 약 1시간 30분 동안 절여주세요. 절이는 동안 20~30분마다 무를 한번씩 뒤집어주어 모든 면이 고르게 절여지도록 합니다. 만약 사용하는 무가 수분이 적거나 단단하거나, 혹은 썰어놓은 크기가 굵다면 절이는 시간을 20~30분 정도 더 늘려주시면 좋아요.
Step 5
무를 절이는 동안 맛있는 깍두기 양념을 만들 차례예요. 양념 재료로 적힌 모든 재료를 한데 섞어주세요. 고춧가루는 너무 곱지 않은 중간 입자 고춧가루를 사용하면 색감과 식감이 더욱 좋습니다. 그리고 멸치액젓을 넣어주세요. 기호에 따라 시원한 맛이 좋은 까나리액젓을 사용하셔도 풍미가 좋아요.
Step 6
곱게 다진 마늘을 1스푼 듬뿍 넣어주세요. 마늘은 깍두기 양념의 풍미를 더해주는 핵심 재료랍니다.
Step 7
다진 생강을 넣어주세요. 다진 마늘 양의 1/3 정도인 약 7g 정도가 적당합니다. 만약 다진 생강이 없다면, 저처럼 생강가루를 활용해도 좋아요. 생강가루는 보관이 용이하고 언제든 쉽게 사용할 수 있어 김치를 담글 때 정말 편리하답니다.
Step 8
양파 1/4개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 믹서기에 넣어주세요. 그리고 물 5스푼을 함께 넣어주세요. 이 재료들이 함께 갈리면서 양념의 부드러움을 더해줍니다.
Step 9
밥 1큰술을 듬뿍 넣어주세요. 저는 잡곡밥을 사용했지만, 흰밥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콩가루 1스푼도 함께 넣어주세요. 콩가루는 찹쌀가루 대신 사용되어 밥과 함께 김치의 부드러운 숙성을 돕고, 더욱 깊고 맛있는 발효를 만들어 준답니다.
Step 10
혹시 콩가루가 준비되지 않았다면, 걱정 마세요! 아무 종류의 두유 50g을 사용하시면 콩가루와 비슷한 역할을 해주어 편리하게 김치를 담글 수 있습니다.
Step 11
믹서기에 갈아 놓은 양념 재료를 2큰술 정도 넉넉하게 넣어주세요. 혹시 양념이 너무 맵거나 짜게 느껴진다면, 나중에 맛을 보면서 남은 양념을 추가하면 조절하기 좋아요. 믹서기에 갈 때 너무 뻑뻑하다면 물을 조금 더 추가해서 부드럽게 갈아주세요.
Step 12
MSG(미원)은 선택 사항이에요. 시판 김치처럼 감칠맛을 살짝 더하고 싶다면 아주 소량만 넣어보세요. 이제 모든 양념 재료를 골고루 잘 섞어주세요. 양념이 뭉치지 않도록 부드럽게 저어주시면 됩니다.
Step 13
잘 절여진 무를 흐르는 찬물에 1~2번 가볍게 씻어주세요. 씻어낸 무는 채반에 올려 최소 30분 이상 물기를 충분히 제거해 주세요. 물기가 잘 빠져야 김치가 싱거워지지 않고 양념이 잘 배인답니다.
Step 14
물기를 뺀 무에 준비된 양념의 90%를 먼저 넣고, 손으로 조물조물 버무려주세요. 무와 양념이 골고루 섞이도록 부드럽게 버무리는 것이 중요해요. 양념 색감이나 맛을 보시고 부족하다 싶으면 남겨둔 10%의 양념을 추가하여 입맛에 맞게 조절해주세요.
Step 15
깍두기는 바로 드시는 것보다 숙성을 거치면 훨씬 더 맛있어요. 완성된 깍두기는 밀폐 용기에 담아주세요. 겨울철에는 상온에서 24시간, 여름철에는 12시간 정도 두어 살짝 익힌 뒤, 냉장고에 넣어 2~3일 정도 숙성시킨 후 드시면 맛이 더욱 깊어져 맛있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Step 16
2~3일 후, 시원하고 맛있게 숙성된 깍두기를 맛볼 시간이에요! 참고로 일주일 정도 더 숙성해서 드시면 깍두기의 풍미가 더욱 살아나 더욱 맛있답니다. 아삭하고 시원한 깍두기와 함께 맛있는 식사를 즐겨보세요!